(오라클) 예제 01 rollback + commit 의 이해


create table grade(

    student _id varchar2(16), // (학번은 왜 숫자가 아닌가?)
    iname varchar2(25), 
    kor number(5,2), // 정수 3자리, 소수아래 2자리, 3자리수에서 반올림 하겠다
    constraint grade_student_id_pk primary key (student_id) //outline method

)


insert into grade (studnet_id, iname, kor) values('20181001','lucky',42.547);

select student_id as 학번, iname as 이름 , kor as 국어점수 fromm grade;

commt;



select 이 란 말은 'student_id , iname 과 kor' 의 칼럼 (column)을 보고싶어 하는구나, 라고 생각을 하면 된다.
as~ 뒤에 따라나오는 (학번, 이름 ,국어점수)들은 다들 닉네임이라는 것이다.
굳이 as 을 안서도 공백 'sutdent_id 학번'을 붙혀줘도 된다.
as를 붙히는 이유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하는 말이었다.

from grade 이란 말은 grade라는 테이블 에서~ 라는 말이다


만약에 테이블을 지울려고 한다 했을때는,
3가지가 있다

delete / drop

delete 는 자료 삭제
drop 은 객체 삭제

delete table grade;

-> 자료가 삭제된다

rollback ; 

->자료가 복귀되었다, 단한번의 기회다.

만약에 drop을 쓰고 싶어서 해본다면~

drop table grade;

->자료가 삭제된다.

rollback;

-> 넌 끝났다, 빨리 보고서 쓸 준비하고, DB관리자에게 빌어라...

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c++ 랜덤 숫자 생성하기 / 컴퓨터 난수 시드 설정

(오라클) Sequence/시퀸스의 활용과 개념

(이클립스+오라클) 게시판 만드는법